[링크] 인터넷 단자함 개선하기
프로그래밍/서버2021. 2. 11. 18:05
친구 집의 인터넷 단자함 모습입니다.
단순 선으로 연결된 간단한 구조입니다.
110 block(110 블록) 또는 puch block(펀치 블록)이라고 불리네요.
여기에 전선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장비를 임팩트 툴이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. ㅎㅎ;;
(그냥 손으로 연결하려고 하니 잘 안되네요)
미리 허브나 공유기 구조로 만들어놨다면 사용자 입장에서 편할텐데요 아마도 건설사에서 단가를 줄이기 위해 이렇게 만들어 놓은 것 같습니다.
위의 구조를 개선하여 인터넷 단자함 안에 모뎀과 공유기를 넣고
각 방의 벽단자에 인터넷 신호를 보내고 싶습니다.
아래의 글이 참고하기에 좋아 보입니다.
나중에 작업하게 되면 사진 올리겠습니다.
인터넷단자함, 공유기 2대 연결 작업하기 Part 1
얼마전 이사를 하면서 인터넷도 이전하였다. 방마다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지만, 설치기사분은 [인터넷단자함] [거실] 이렇게만 연결해놨다. 그래서 집에 2대 공유기로, 여러 방에 공유기 물려보
ssami.tistory.com
댓글 영역